[Burgundy]버건디, 부르고뉴 지역에 대해 노트_등급나누기
버건디 지역의 등급을 나눠보자
출처 : 와인공부에는 최강의 유투브 (마스터 오브와인의 설명과 품종에 대한 특성 등은 와인킹 // 영어단어 찾아가며 하는 와인 공부하기 좋은 채널은 : Elicite)
Elicité : https://www.youtube.com/channel/UCaxdsXEk1V37Q3Q6HFwB0pA
Elicité
Welcome to the Elicité YouTube channel! We’re your personal online wine sommelier - with the goal to help you discover, explore and shop the fascinating world of wine. If you have been inspired to try some of the delicious wines shown throughout our vid
www.youtube.com
80%의 Regional 와인 프랑스어로 "레드와인"이라고 적어서파는 와인 우리나라에 잘없는듯? 화물에 실어오기에는 비용대비 수익이 안날정도로 저렴할듯하다?(확실치 않음) 밭의 소속이 확실하지 아니하다.
그리고 우리가 잘 접하기 시작하는건 아래부터
빌라쥬 와인(Village wine) - 12% 가량된다고한다. 가성비가 가장 좋은단계 레이블에는 [Beaune] [Chablis] 처럼 지역명을 붙이기 시작한다. 즉 요 단계에서는 본, 샤블리 등등의 이름의 와인을 볼 수 있다.
마트에 가면 와인 섹터에 샤블리라고 적어서 팔거나 하는 와인이다.
우리나라에서 대략 5만원 이하에 구매해서 맛보는 와인들 품질이 좋아 대부분 입문자들에게 와인의 세계에 빠지게 하는 단초가 된다.
예로 루이자도를 보면 루이자도 피노누아 와인킹 채널의 피터 선생님께서 "품질이 좋다"라고 하셨고 입문 피노누아를 대략 4만원 이하로 살 수 있다.(5만원 부터 호갱님이니 사지말자) 거기서 시작해서 몇년뒤 루이자도의 그랑크뤼를 사고 카드값보고 숙연해지는것.
샴페인과도 마찬가지인듯 엔트리급을 잘 만드니... 이 위는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하게한다 빌라쥬는 그래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프리뮈에 크뤼(Premier Cru) - 1등급 밭이다. (First growths) 7% 규모의 밭이며 라벨에 프리뮈에 크뤼라고 적는다. 드디어 시작된 환상적인 품질과 사악한 가격의 와인의 시작 오늘 내가 마실 와인은 프리뮈에 크뤼 샤블리인데 기대된다. 현재 온도를 낮추는 중...
프리뮈에 크뤼 제작자가 그해 농사가 시원치 않아서 본인의 자존심에 해당 와인을 프리뮈에 크뤼로 판매하지 않을 것이라고 선언하여(이게 바로 장인정신...) 빌라쥬 급으로 낮춰 판매하기도 하는데 그때 소비자들은 프리미어의 복합미를 빌라쥬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는 절호의 찬스이기도하다.
두가지 카테고리로 나뉜다. - Generic or Specific
Generic -> 한개의 1등급 밭이나 여러개의 1등급 밭에서 나온 포도로 만든다. Beaune Premier Cru라고 한다면 본 지역 1등급밭에서 나온 작물로 만든것.
Specific -> 단일 밭에서 나온 포도로 생산. Chablis Premier cru Vaillons 샤블리 지역 1등급밭인 바용밭에서 나온 포도로 만든것.
그랑 크뤼(Grand Cru) - 33개의 밭만이 존재하는 그랑 크뤼, 라벨에 밭이 속한 지역명을 적지않는다. 즉 내가낸데의 시작으로 소속 지역명은 빼버리고 오로지 밭의 이름만 적는다 예로 로마네 꽁띠 한줄 딱 적는다. 로마네 꽁띠 밭에서 나온 와인이라는 것! 당연히 단일밭이고 심지어 몇줄의 나무에서 나오는지도 구분한다고한다.
밭의 등급 뿐만아니라 포도니까 기본적으로 탄생한 해의 빈티지가 퀄리티를 크게 좌우한다고한다.
+ 또한 와인의 퀄리티라는 것은 감히 판단해서는 안되고 전문가들이 섬세하게 판단한다는 것을 잊지 않기를 스스로도 다시금 다잡아본다. 자의식 과잉을 경계하고(나부터!) 퀄리티 평가는 삼가하는게 좋을듯.
"나한테는 정말 퀄리티가 뛰어난 와인이다" 혹은 "난 정말 맛있게 마셨어 추천해"(O)
이와인은 퀄리티가 좋은와인이다(말은 한 사람이 마스터오브 와인이거나, 마스터 소믈리에거나, 와인 제조에 관한 유학을 가서 학위를 따온게 아니라면 고려할 필요가없는 말이다 그러므로 무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