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은행 2

[블랙머니]영화 속 론스타의 외환은행 인수는?

영화는 보지 않았지만.. 영화속에서 BIS비중이라는게 설명되고 "70조짜리 은행을 1조에 먹었단말이야?"와 같은 대사도 나온다고 해서 블로그에 남겨봅니다. 간략하게 말하자면 70조짜리* 회사가 아니라 2조 가량 되는 회사라고 보는게 맞을것이고 결국 그걸 론스타가 수십조원을 싸게 산건 아니라고 보면 될거같습니다. (*)70조원이라는게 자산이고, [자산 = 부채 + 자본]이며, 은행은 부채로 장사하는 곳이니 부채만큼은 제하고 인수가치를 보는게 맞을거같습니다. 간략하게 보면 자본만큼 지불하고 산다고 생각하면 될것이고, 론스타의 입찰을 가능하게 했던 당시 외환은행장의 파렴치한 짓거리가 결국 이게 영화까지 만들어지게한 그 배경에 있다고 보면 될거같습니다. 아래는 BIS(8%룰)구하는 내용이고 마지막에 다시 블랙머..

FRM/리스크기본 2019.12.12

하나은행 우리은행 DLS(파생결합증권 상품) 불완전 판매 사건에 대하여

[1. 상품에 대해서] 하나은행과 우리은행에서 DLS(파생결합증권, derivative linked securities)를 팔았는데 대부분 개인한테 팔았다고한다. 기업도 아니고 개인한테 팔았다니 의심이 갈 수 밖에없다. DLS라는 상품이름이 독일국채DLS라면 읽어봐야한다. 이건 독일 국채 자체에 투자하는 상품이 아니다 DLS로 만들었다는거 자체가 독일 국채의 "어떤 상황(예를들어 금리수준)"을 기반으로 해서 발행하는 것이다. 독일국채가 튼튼하다는 생각은 누구나 할 수 있다. 독일이 망하지 않으면 독일 국채는 원금을 회수한다. 근데 독일 국채에 투자한게 아니고 독일 국채의 금리에 투자하면 이야기가 완전히 달라진다. 경기 침체에는 독일과같이 우량한 국가의 채권에 투자해야한다, 판매시에 "독일은 유럽최고다 독..

FRM/리스크기본 2019.08.26